티스토리 뷰

투자에서 가장 위험한 말 중 하나는 “이 전략, 왠지 잘 될 것 같아”입니다. ‘감’으로 매매하는 시대는 지나고, 이제는 ‘검증된 전략’이 중요한 시대입니다. 그 검증의 핵심이 바로 백테스트(Backtest)입니다. 이 글에서는 퀀트 전략의 시작이자 핵심 도구인 백테스트의 개념부터, 실제로 활용하는 방법과 주의할 점, 실전 예시까지 자세히 설명합니다.

1. 백테스트란? 퀀트 전략 검증의 출발점

백테스트는 말 그대로 과거의 데이터(Back Data)를 기반으로 투자 전략을 테스트(Test)하는 과정입니다. 어떤 매매 규칙이 있다면, 그것을 과거 주가 데이터에 적용해보고 만약 그 전략을 실제로 썼다면 어떤 수익률과 리스크가 발생했을까를 확인해보는 겁니다.

예시: 아주 단순한 전략

  • 조건: 20일 이평선 돌파 시 매수, 5% 수익 시 익절, -3% 손실 시 손절
  • 기간: 2018~2023년
  • 대상: 코스닥 상위 200종목

이 전략을 코딩하거나 툴에 적용하면 그 기간 동안 몇 번 매매가 발생했고, 전체 수익률이 몇 %였는지, 최대 손실은 어느 정도였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백테스트를 하면 이런 결과를 알 수 있습니다:

  • 총 누적 수익률
  • 연간 평균 수익률
  • MDD(최대 낙폭)
  • 승률 / 평균 수익 / 평균 손실
  • 거래 빈도 및 거래 수
  • 수수료 포함 결과

단순히 “이 전략 좋아 보인다”가 아니라, “이 전략은 5년간 22% 수익률, 최대 낙폭 8%, 평균 승률 61%”라는 식으로 정량적 평가가 가능해지는 것이죠. 이처럼 백테스트는 퀀트 전략의 성능을 숫자로 보여주는 필수 검증 도구입니다.

2. 좋은 백테스트 조건과 주의할 점

백테스트는 유용한 도구지만, 설정을 잘못하면 잘못된 확신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. 그래서 백테스트를 활용할 때는 몇 가지 중요한 원칙과 주의사항을 꼭 숙지해야 합니다.

1) 좋은 백테스트의 조건

  • 충분한 기간: 최소 3년 이상, 이상적으로는 5년~10년
  • 다양한 시장 상황 포함: 상승장, 하락장, 횡보장 모두 포함
  • 현실적인 매매 조건: 슬리피지, 수수료, 매매 시간 등 고려
  • 과최적화 방지: 조건이 많을수록 과거에만 맞는 전략일 수 있음
  • 리스크 지표 포함: MDD, 변동성, CAGR 등 함께 분석

2) 흔한 실수

  • 조건을 너무 많이 넣음 → 과거 맞춤 전략 위험
  • 수익률만 봄 → 손실 폭 큰 전략은 실전 불가
  • 실전과 괴리 → 체결 가능성, 유동성 무시
  • 시장 반복 가정 → 과거와 같은 장세가 반복된다는 보장 없음

핵심은, “백테스트는 시뮬레이션이지 예언이 아니다.”
그러므로 실제 투자에서의 리스크 관리 기준과 병행해서 사용해야 합니다.

3. 툴 없이도 가능한 백테스트 실전 예시

“나는 코딩도 못 하고, 프로그램도 잘 모른다”는 분들도 백테스트는 충분히 가능합니다. 최근에는 무코딩 기반 백테스트 플랫폼이 활성화되면서, 누구나 간단한 설정만으로 전략을 검증하고 과거 수익률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

또한 엑셀만 활용해도, 데이터만 있다면 기초적인 전략 검증은 충분히 가능합니다. 이제는 백테스트가 기관이나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닌, 개인 투자자의 핵심 도구가 되고 있습니다.

① 무코딩 백테스트 플랫폼 추천

플랫폼명 주요 기능 및 특징 주요 강점 및 차별점 사이트 링크
스노우볼72 - ETF 중심의 자산배분 전략 백테스팅 및 공유 플랫폼
- 간단한 인터페이스로 전략을 구성하고 테스트 가능
- 무료로 사용 가능(일일 사용 제한 있음)
간단한 ETF 전략 구성과 쉬운 접근성 snowball72.com
퀀터스 - 팩터 전략, 자산배분 전략 등 퀀트 투자 전략 지원
- 한국투자증권 계좌와 연동한 자동매매 지원
- 전략 백테스팅 및 라이브 트레이딩 지원
계좌 연동을 통한 자동매매 가능
초보자부터 숙련자까지 활용 가능
quantus.kr
인텔리퀀트 - 블록 조립 및 코딩 방식으로 전략 설계 가능
- 전략 공유 마켓플레이스(iQ 마켓) 운영
- 자동매매(iQ Live) 지원
블록형 UI를 활용하여 직관적으로 전략 설계 가능
다양한 전략 공유 및 자동매매 지원
intelliquant.ai
젠포트 - 국내외 주식(한국, 미국)의 퀀트 투자 전략 설계 및 검증 가능
- 전략 설계에 코딩 불필요
- 전략 판매 및 구매 가능한 알고리즘 마켓 운영
전략 마켓 운영으로 전략 판매 가능
해외(미국) 주식 전략까지 지원
genport.newsystock.com

② 엑셀을 활용한 수동 백테스트

전문 툴 없이도 엑셀만 있어도 가능한 전략 검증 방법이 있습니다. 주가 데이터를 구하고 기본 공식을 설정하면 수익률, 승률, MDD 등을 손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.

실행 방법 예시:

  1. 네이버 증권 또는 Investing.com에서 종목의 과거 주가 데이터를 다운로드 (CSV 파일)
  2. 엑셀에서 이동평균선, 수익률 계산 공식 입력
  3. 조건(예: 골든크로스 발생일) 필터링
  4. 조건 충족일의 다음날 종가 기준 수익률 계산
  5. 평균 수익률, 승률, 최대 낙폭(MDD) 등 통계 분석

이 방식은 시간이 다소 걸리지만, 전략이 실제 어떤 흐름을 보였는지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. 퀀트 전략을 처음 설계해보는 초보자에게는 특히 유익한 경험이 됩니다.

③ 실전 적용 시 유의사항

  • 소액부터 테스트: 과거 성과가 좋아도 실전에서는 다르게 움직일 수 있음
  • 백테스트 결과를 과신하지 않기: 리스크 관리 전략과 병행 필요
  • 너무 많은 조건은 과최적화 위험: 조건식은 3~5개 이내로 단순화

최근에는 플랫폼 간 연동도 가능해져, 파인퀀트에서 전략 설정 → 키움 API로 자동 매매를 구현하거나, 트레이딩뷰에서 알림 설정 → 자동 대응 시스템도 만들 수 있습니다.

중요한 것은 '전략' 그 자체보다, 그 전략이 과거 시장에서 어떤 성과를 냈는지 검증하는 것입니다.
실전에서의 재현 가능성과 안정성이 높은 전략을 찾기 위한 과정이 바로 백테스트입니다.
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TAG
more
«   2025/04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
글 보관함